이대로의 우리말글사랑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중국동포는 시험 못보게 만드는 한국취업시험
[시론] 동포방문 취업 위한 시험 원성, 동포 많이 사는 곳에서 시행해야
 
이대로   기사입력  2008/01/25 [19:58]
지난해부터 무연고 외국 국적 동포와 외국인을 대상으로 방문 취업을 위한 한국어능력시험을 보고 있다. 그런데 몽골과 필리핀, 베트남 들 다른 국가에 비해서 중국동포와 중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이 시험이 순조롭게 시행되지 않고 잡음이 많다. 교육부 산하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주관하는 중국동포 대상으로 하는 방문취업 시험장소가 중국동포가 많이 살고 있는 연길이나 흥룡강성이 아닌 다른 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중국 동북지역 동포들의 원성이 높다.

글쓴이가 지난해에 중국 대학에 가서 중국 학생들에게 한국말을 가르치려고 가니 중국동포로부터 그 문제를 풀 수 있도록 도와 달라는 호소문을 주면서 도와달라고 애원했다. 그래서 본국의 관련 분들에게 그 상황을 전달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부탁한 일도 있다. 아래는 중국동포들의 편지 일부다.
 
중국 교포의 목소리
 
오늘 중국에서 실시 되고 있는 동포방문 취업비자 신청제도는 한국 정부에서 중국 교포들에 대한 우대 정책이라고 볼 수 있으며 또한 중국에서 살고 있는 200만 백의동포들의 옹호를 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동포방문취업 시험제도는 교포들의 불만을 자아내고 있습니다. 그 주요한 원인으로, 중국에 살고 있는 교포들의 분포상황을 보면 연변민족자치주에 100만명, 흑룡강성에 50만명, 료녕성에 50만명으로 되여 있지만 시험장소는 교포들이 적거나 전혀 없는 곳에 배치되었기에 교포들이 차비를 팔고 먼 곳에 가서 시험을 봐야 하기 때문입니다. (현재 있는 시험장소로는 장춘, 심양, 대련, 상해, 남경 등.) 이것은 완전히 실제를 떠난 틀린 처사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 원인을 살펴 본다면 한중 양방에서 권력자들이 교포들의 편리를 무시하고 자기들의 이익만 챙기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줄임 ...“

중국동포의 말을 들어보니 시험 장소를 동포들이 많이 살지 않는 곳에 지정함으로써 동포들은 시험을 보기 위서 많은 시간과 돈을 낭비하고 있었다. 한마디로 동포를 위한다는 제도가 동포들을 괴롭히고 힘들게 만들고 있었다. 연길에 100만 명, 흑룡강성에 50만 명, 료령성에 50만 명의 동포가 살고 있는데 그곳에서는 시험을 안 보고, 1만 명이나 몇 천 명이 사는 지역에 시험장소를 지정한 것은 분명히 잘못이고 무엇인가 부정이 개입했거나 한국 정부와 관련기관 공무원이 무능한 거로 동포들은 보고 있다. 그래서 동포들은 중국 정부와 한국 정부에 건의도 하고 호소하고 있으나 아직 해결되지 않고 있다. 
 
▲한국의 지방도시에 온 거 같은 중국 연길시 풍경, 한글 간판이 아름답다.     © 이대로

왜 이런 문제가 발생한 것인가 까닭을 살펴보니 한국은  교육과정평가원이 시험문제만 출제하고 시험 지정장소 결정과 시험 시행을 송출 국가인 중국 ‘교육부고시중심’이 결정하기 때문이었다. 중국이 한국에서 돈을 벌어갈 좋은 기회를 그들에게 주면서도 그 시험 시행 주도권을 중국에게 주고 동포들에게 불리하게 만든 것이었다.  중국동포들은 이런 불합리하고 불공평한 제도를 만든 한국 정부와 공무원을 원망하고 있다. 중국 정부에만 유리하게 하고 끌려다니는 꼴이 된 이 제도를 만든 한국 정부와 관련 공무원이 무능하던가 부정이 개입된 게 아니냐고 의심하고 있다. 그리고 문제 해결 권한이 중국에 있다면서 성의를 보이지 않고 있다.
 
글쓴이가 보기에 이 시험을 중국 측이나 한국이나 관료들이 독점해서 추진하는 데서 그런 문제가 발생한다고 본다. 우리가 잘 아는 미국말 인증시험인 토풀이나 토익도 민간인이 참여하고 여러 시험기관과 회사가 경쟁하게 하고 있다. 시험도 미국 측이 주도해서 시험을 본다. 다른 나라나 우리나라가 주도하고 시험장소를 보는 게 아니다. 정부나 공무원이 독점하니 부정이 생길 여지가 많고, 그 시험을 보는 동포에게 불친절하고 불편하게 한다.
 
그러니 동포방문 취업 한국어인증시험도 한국 측이 주도해서 시험 장소도 정하고 시행하게 해야 하며 정부기관이 한국교육평가원에게 독점 시행하게 할 게 아니라 민간기구에도 그 권한을 주고 함께 경쟁하게 해야 한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말 인증시험은 민간단체인 한글학회의 세계한국어능력시험위원회에도 오래 전부터 시행하고 있다. 이 시험을 민간인에게 맡기면 국가 예산도 들어가지 않고 외화벌이도 될 수 있으며 더 서비스도 좋아진다. 그런데 국가기관이 시행하니 국민 세금이 낭비된다.
 
▲외국인에게 한국말능력시험을 시행하는 '한국말인증시험' 과 '한국어능력시험'의 누리집     © 이대로

지금 무연고 해외동포 방문 취업을 위한 한국어능력시험은 교육부 산하기관인 한국교육평가원이 독점 출제하고 인정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 시험장소 결정과 시행을 중국교육부 고시중심(NEAA)에 위탁해 독점하게 했다. 그리고 일 년에 1회만 보다가 중국은 2회를 보게 했다고 하지만 중국은 동포가 많기 때문에 4회로 늘려야 한다고 동포들은 호소한다. 이런 불합리한 제도를 만들고 바로 시정하지 않는 공무원은 이번 새정부가 들어서면 문책하고 제도를 빨리 바꿔야 할 것이다. 그리고 민간 시험기구인 한글학회의 한국어능력시험위원회(KLPT)에 볼 수 있도록 하고 그 자격도 똑같이 인정하면 모두 잘 해결 될 것이다.  미국말 인증시험인 토플과 토익이 서로 특징을 가지고 경쟁하는 거처럼 말이다.
 
영어능력시험인 토풀과 토익도 민간이 주도하는 것이고 경쟁을 하게 한다. 한국어능력시험에 영어처럼 민간기구에 넘기고 경쟁을 하도록 해야 한다. 이게 해결책이다.
 
외국인을 상대로 시행하는 한국어능력시험은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외국에 보급하고 한류 바람을 일으키는 데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는 좋은 정책이다. 그런데 이제 좀 더 짜임새 있게 시행해 최대한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해야겠다. 또 몽골, 필리핀 등 다른 동남아 국가에선 고용허가제 시험이 시행되고 있는데 중국은 아직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 또한 빨리 시행해서 한국어 보급에 힘을 보태야 할 것이다. 영어나 중국어, 일본어 인증 시험은 10만 원 안팎인데 한국말 인증시험은 2만 원 정도라고 한다. 오늘날 영어 인증시험인 토풀과 토익, 중국어, 일본어 등 외국말 인증시험으로 엄청난 외화가 나가고 있다.
 
우리 한국말 인증시험도 한국이 주도하고 비용도 더 받아서 외화를 벌어들여야 한다.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고 잘하게 되면 한국과 한국인도 좋아할 뿐만 아니라 한국 상품도 좋아하게 된다. 한국말 인증시험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외국인들이 많이 보게 제도와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대자보> 고문
대학생때부터 농촌운동과 국어운동에 앞장서 왔으며
지금은 우리말글 살리기 운동에 힘쓰고 있다
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 공동대표

한국어인공지능학회 회장

한글이름짓기연구소 소장
세종대왕나신곳찾기모임 대표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08/01/25 [19:58]   ⓒ 대자보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