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시민의신문> 사태 해결 미흡, 시민운동단체 모두 반성해야
[토론문] 21일 오후 열린 <시민의신문> 사태를 통해본 시민사회운동의 책임 토론회
 
김철관   기사입력  2007/06/25 [15:32]

▲     © 김철관
지난 4월 말 시민사회단체 공동신문인 <시민의 신문>이 자취를 감췄다. 마지막까지 남아 투쟁을 한 일부 기자들도 정리해고 됐다. 언론개혁운동을 줄곧 해온사람으로서 착잡함을 느낀다.

지난 93년 5월 29일 경실련 주도의 시민주로 탄생해 97년 시민단체 공동신문으로 재출범하기까지는 우역곡절도 많았다. 하지만 시민운동단체의 공동신문으로 출범했다. 이후 2003년 6월 3일 10주년 기념행사를 가졌고, 2005년 6월 12일 지령600호 및 12주년 기념식을 갖기도 했다. 당시 공동신문 출범에 적극적이었던 시민운동단체 인사들이 <시민의신문>이사로 참여 활동했지만, 자신들의 역할을 방기해 스스로 문을 닫게 한 결과를 초래했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 고 했는데 변화가 아니라 퇴행 아니, 퇴출됐으니 할 말이 없다.

그동안 <시민의신문>은 좋든 싫든 간에 17여 년간 시민사회운동, 노동운동단체, 사회약자 등 많은 의제들을 지면을 통해 대변해 왔다. 물론 부정적 보도행태도 있었지만, <시민의신문> 나름대로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부인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형모 전 대표이사의 성희롱이 첫 알려진 지난해 9월 7일부터 정리해고 되기 직전인 지난 4월말까지 빈 사무실을 지키면서 묵묵히 투쟁한 기자, 직원 등 <시민의신문> 종사자들의 정의로운 행동은 시민운동 및 노동운동사에 영원히 기억될 것이다. 사주의 잘못된 행태를 바로잡고 신문을 정상화시키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기 때문이다.

현재 파행을 걷고 있는 <시사저널>과 <시민의 신문>의 공통점은 대표이사(사주)의 잘못된 행태를 바로 잡자는데 서 출발했다.

사안은 다르지만 <시사저널>은 편집권침해로, <시민의신문>은 성희롱으로, 사주들이 저지른 횡포였다. 이들은 임금과 복지, 단체협약 등의 쟁취를 위해 투쟁하는 노동자들의 활동과 구별되는 이유는 이익분쟁이 아니라 사회공공성과 공익성, 정의를 위해 사주의 횡포에 대항해 싸웠다는 사실이다.

투쟁 과정에서 생존권 위협, 가정생계 곤란 등의 마지못한 이유로 그만 두는 직원도 있었지만, 남은 직원들은 막판까지 혼혈을 다했다. 지난 1월 10일 <시민의신문> 공대위까지 결성돼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그나마 열심히 임하고 있는 공대위의 적극적 활동을 보면서 한편으로 ‘소 잃고 외양간고치’는 운동이라는 생각이 들어 씁쓸하기도 하다.

<시민의신문> 폐간 사태를 지켜보면서 성희롱 뿐만 아니라 부실경영 , 주주총회 파행 등에 대해 반성은커녕 직원들에게 부정적인 사고를 갖게 한 이형모(최대 주주) 전 대표에게 전적인 책임을 물어야 한다. 현재 검찰에 고발된 상태에서 엄정한 수사가 진행돼야 한다.

다음 책임은 사태를 수습해야할 이사들이 제 역할을 못했다는 점이다. 이사에 참여한 면면을 보면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는 선배 시민사화운동가들이기 때문에 더욱 이해가 되지 않는 측면이 있다.

덧붙여서 항상 공익성, 공공성 등 정의를 앞세우면서 활동을 해 왔던 일부 시민사회운동단체, 노동운동단체 등 대항 세력의 대안제시와 역할, 소통이 미흡했다는 점이다. 성명서 등으로 일관한 성희롱관련 여성단체들의 소극적 행동은 비판받기에 충분했다. 성폭력을 바라보는 민주언론시민연합, 참여연대, 여성단체연합 등 메이저급 시민사회단체들의 무관심적인 태도는 이해하기 어려운 측면이다. 또 하나 지적한다면 <시민의신문>분회의 상급단체인 언론노조의 역할이 미미했다는 사실이다.

특히 <시민의신문>을 정상화에 노력해야 했는데도 <시민사회신문>을 창간을 주도한 일부 시민사회단체 운동가들과 <시민의신문>에서 일했던 일부 기자들의 잘못된 행태도 지적하고 싶다.

결국 이런 원인에 기인해 <시민의신문>의 새로 구성된 이사들은 지난 4월 말 서버 및 사무실을 폐쇄했고, 직원들 역시 4월 27일로 정리해고 했다.

이 사태는 시민사회운동단체와 소통하는 ‘시민정론 미디어’의 운영과 역할에 무거운 숙제를 남겼다.

이제 성폭력문제, 시민사회단체의 책임 운영 등 시민사회운동 내의 도덕성과 윤리성 문제를 명확하게 짚어야할 때가 됐다. 시민 미디어의 운영과 책임, 역할 그리고 정론지를 표방하는 여타 시민사회단체관련 미디어와의 연대와 소통에 대해 구체적인 대안제시를 할 때가 왔다.
▲     © 김철관

성희롱 방지를 위해 시민운동단체 및 시민 미디어 등 대표 및 활동가들에게 높은 윤리의식을 재고하기 위한 성희롱 방지 윤리규정 채택을 건의하고 싶다. 시민운동단체에 활동과 동시에 협약서에 서명해 본분을 다하는, 강제할 수 있는 규정을 만들어야 한다. 덧붙여서 성희롱, 성폭력 등 사태가 발생했을 경우, 즉각 진상을 규명 수 있는 특별위원회 구성을 제안하고 싶다. 성폭력단체 및 여성단체, 시민사회노동언론운동 단체를 망라해 구성했으면 한다.

또 시민사회운동단체 대표, 이사, 국장, 간사 등 상시적 소통을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시민사회단체 등이 서로 연대해 소통할 수 있는 공간과 시간을 마련해야 한다. 원로, 중견, 간사, 실무자 등의 소통공간이 절대 필요하다.

<시민의신문> 사태는 당시 이사로 참여했던 사람들은 과거 저명 시민사화단체 대표급이라는 사실이다. 그동안의 시민운동의 경력과 경험으로 보아 잘 풀 수 있었던 <시민의신문> 사태를 파행으로 이끌었다는 것은 소통의 문제가 원활하지 못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시민운동단체 공동 미디어의 재창간 등에 대해 투명한 시민사회운동단체의 합의가 필요하다. 물론 일부 시민사화활동가들과 기자들이 참여해 최근 창간한 <시민사회신문> 투명성 검증을 통해 시민사회운동단체가 합의할 수 있는 방안도 심도 있게 논의한 것도 한 방편이 될 수 있다.

수돗물을 그냥 먹어도 된다. 하지만 생수를 사든지 돈을 들여 정화를 해 먹는다. 오염되지 않는 물을 먹어야 건강에 좋기 때문이다.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전제조건인 ‘정의가 생존의 핵심’이라는 보편적 진리를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 기업도, 학교도, 언론도, 시민사회단체 대표 및 활동가 등도 다 적용된 명언인 것이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07/06/25 [15:32]   ⓒ 대자보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