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정동영 장관, 북-현대 갈등 중재나서야
[논단] 북 아태평화위와 현대의 긴장지속은 남북민족경협 사업 도움안돼
 
조대기   기사입력  2005/10/21 [13:20]
 김윤규 부회장의 퇴진을 놓고 북한과 현대가 첨예한 긴장관계를 연출하고 있다. 북한은 20일 조선 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대변인 담화를 통해 "현대와의 모든 사업을 전면 검토하겠다"는 초강경 입장을 밝혔다.
 
 북한은 담화에서 김윤규 부회장의 퇴진을 '전면 검토'의 이유로 내세웠다. "김윤규를 죽인 것은 곧 정주영 명예회장을 죽인 것" "현대는 정주영.정몽헌선생들이자 곧 김윤규로 여겨졌다"고 한 성명은 북한이 김윤규씨를 정주영 명예회장과 동격으로 보고 있다는 표시다.
 
  북측은 "원래의 얼굴이 하나도 없는 현대는 현대가 아니다"면서 "현대가 본래의 실체도 없고 신의도 다 깨져버린 조건에서 그 전과 같은 협력대상이 되겠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되며 따라서 현대와의 사업을 전면 검토하고 재조정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북측은 개성관광에 대해 "현대와는 도저히 사업을 할 수 없게 됐으며 부득불 다른 대상들과 협의를 추진해나갈 수 밖에 없다"며 못을 박았다. 현대가 개성관광 독점권의 이유로 주장하는 `7개 경협합의서'에 대해서도 "이제와서 그 합의의 주체가 다 없어진 조건에서 이에 구속될 이유마저 없다"고 설명했다.
 
  이번 북측 조선아태 평화위원회의 성명에 대해 남북경협의 주요 사업 파트너인 현대와 북측의 긴장이 오래가지 않기를 희망한다. 
 
 김윤규 부회장의 퇴진을 둘러싼 불신과 오해를 털어버리고, 현대측은 북측에 성실한 설명과 답변이 있어야 할 것이다. 기존 사업 파트너였던 김윤규 부회장에 대한 신의를 존중하는 북측의 뜻을 오해하거나 무시해서는 안될 것이기 때문이다.
 
 북측도 지나친 정치적 이유로 이 문제를 끌고 가지 않았으면 한다. 김정일 위원장의 김윤규 부회장에 대한 신의를 모르는바 아니지만 이 문제에 있어 민족적 문제로 보고 통큰 정치를 해야 할 것이다.
 
 회사의 경영문제 때문에 개인적 문제때문에 민족적 기대에 찬 남북경협 사업을 그르쳐서는 안될 것이다.
 
 “비온뒤 땅이굳는다”는 속담이 있다. 사업 파트너간 긴장관계는 오해와 감정이 풀리고 나면 과거의 서로의 잘못은 눈녹듯이 녹는 경우가 많다. 지혜로 풀일이다.
 
 남북경협 사업은 민족의 평화와 번영, 한반도 평화안정에 대단히 중요한 민족 공영사업이다. 체제와 이념이 다르지만 한반도 평화와 민족의 생존권을 담보로 번영을 위한 시작사업의 성격이 강하다. 작은 감정과 명분에 치우쳐 일이 그르쳐서는 안된다는 점을 상기하고자 한다. 
 
 현대만이 대북사업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아니다. 사업의 계약은 약속이고 서로간에 약속한 그 계약기간과 내용을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보장해줘야 한다. 그래야 남북경협사업에 뛰어들고자하는 후속사업자들이 향후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보고 뛰어들 수 있는 것이다.
 
 정치적 이유 등으로 인한 갑작스런 사업중단등으로 오는 불확실성은 남북경협 사업에 대한 위험도를 높여 다른 기업들과 기업인들의 경협참여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수 있다. 기존의 사업들이 어려움을 겪어온 이유이기도 한 이같은 불확실성을 제거하기 위해서라도 북한과 현대가 성실한 대화에 임해야 한다.
 
우리는 통일부의 중재자로서의 개입의무도 크다고 본다. 남북경협 사업은 정부의 정책지원과 안전보장 노력, 사업성공을 위한 지속적 지원이 없다면 실패하기 쉽다. 위험도가 그만큼 높은 것이다. 이러한 위험과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가 현대와 북한의 중재자로서 설득과 문제해결자로 나서야 한다고 우리는 본다.
 
 그것은 정부의 지원을 통해 각종 사업이 진행되고 있기때문이다. 중복되고 중단되면 그만큼 국고지원의 손실로 이어지기 때문인 것이다. 통일부 당국자의 중재노력이 필요한게 아닌가 생각된다. 김윤규 전 부회장의 명확한 자기입장 표명이 있기를 바란다. 대북한 경협 사업의 공로자로서의 어려운 남북경협 사업을 잇기 위한 김 전부회장의 노력이 왜곡돼서도 안되겠지만 후속 바통을 이어받은 현대의 대북사업을 제대로 성공시킬수 있도록 지원해줘야 할 의무가 있는게 아닌가 생각한다.
 
 남과 북, 기업과 북한 정부와의 경협 사업이 아니라 이제는 전국민적 성원을 받아가며 이뤄지는 민족사업으로서 김 전부회장의 겸허한 자기입장을 정리해줘야 할때가 아닌가 싶다.
 
 다시한번 강조하거니와 남북경협사업은 단순한 기업행위나 정치적 의미를 뛰어넘는 민족 사업의 성격이 강하고 민족의 생존권과 평화정착의 시발점이기 때문이다. 북과 남의 정부, 현대는 이 사업의 주체자이지만 문제해결의 당사자이면서 동시에 이 삼자 모두 공동 사업자임을 명심했으면 한다.
 
덧붙이자면, 한나라당 일부 색깔론자나 대북 퍼주기론을 주장하는 일부 수구들이 이 긴장국면을 빌미로 재보선 등 정치적 국면으로 활용하지 않기를 바란다. 그런일이 발생한다면 이는 민족 발전을 저해하기를 학수고대하는 사람들이라고 볼수 있다고 생각한다.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구축하기 위한 만용을 우리는 적지 않게 보아왔다. 보수진영에서 이같은 긴장국면을 정치적 확전으로 끌지 않기를 바란다. 

* 본 기사는 대자보와 기사제휴협약을 맺은 ‘이슈아이(www.issuei.com)'에서 제공했습니다. 
* 필자는 이슈아이 편집장입니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05/10/21 [13:20]   ⓒ 대자보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