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조선·문화> '정청래 폭언' 결국 오보 인정
법원조정 따라 14일 1년만에 반론문 게재…정청래 "머리 멍하고 가슴막혀"
 
취재부   기사입력  2009/03/14 [13:49]
<조선일보>와 <문화일보>가 지난해 18대 총선 당시 통합민주당 정청래 전 의원 '낙선'에 결정적 계기가 됐던 '교감 폭언' 보도와 관련, 14일 지면을 통해 반론보도문을 게재하고 자신들의 기사가 '오보' 였음을 사실상 시인했다.
 
두 신문, 동일 내용의 반론문 게재 "정 전 의원 '폭언 한 적 업사'고 밝혀와"
 
<조선>과 <문화>는 각각 이날 자 10면과 5면, 자사 홈페이지인 '조선닷컴' 등에 동일한 내용의 반론보도문을 게재하고 다음과 같이 고개를 숙였다.
 
"우리 신문은 2008. 4. 5.부터 2008. 4. 9.까지 사이에 4회에 걸쳐 '정청래 전 국회의원(당시 통합민주당·서울 마포을)이 선거운동기간 중 마포구 소재 S초등학교 녹색어머니회 발대식 행사장에 들어가려다가,
 
▲ 조선일보와 문화일보는 14일 동일한 내용의 반론보도문을 지면에 게재했다.     © 조선닷컴

이를 제지하는 그 학교 김 모 교감에게 폭언을 하고 이후 김 모 교감에게 사과를 강요하는 등 무례한 태도를 보였으며 여론이 악화되자 이를 은폐하려고 시도하였다'는 취지의 보도를 한 바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정 전 의원은, "당시 김 모 교감에게 '교장, 교감 다 모가지를 자르겠다. 교감이 건방지고 거만하다'는 취지의 폭언을 한 바 없고, 사과를 위해 방문한 위 학교 교장에게 '김 모 교감이 직접 오지 않았으니 사과를 받지 않겠다.'고 말하는 등 김 모 교감의 직접 사과를 강요한 적이 없으며,
 
이후 위 사건을 축소·은폐하기 위해 학교와 학부모단체를 통해 외압을 행사한 사실이 없고, '교육청에 이야기해서 서교초등학교에 대한 교육지원비를 삭감하겠다.' 또는 '서교초등학교에 불이익이 있을 수도 있다'는 등의 말을 한 바 없다."고 밝혀왔으므로, 이를 알려드립니다. 끝"
 
법원 "정 전 의원 주장 반론보도하라" 조정
 
이날 이들 신문의 반론보도문 게재는 정 전 의원이 지난해 8월 <문화일보>와 <조선일보>에 '반론보도 청구소송'을 제기한 것에 대한 법원 결정에 따른 것이다.
 
법원은 11일 <조선>과 <문화>를 향해 "(정 전 의원이) '교감과 교장을 모두 자르겠다'고 말하지 않았다는 부분, 직접 사과를 강요한 적이 없다는 부분, 초등학교에 대한 불이익이 있을 수도 있다고 말하지 않았다는 부분 등을 반론보도하라"고 판시했다.
 
구체적으로 <조선일보>의 경우, 법원은 '신문 A10면에 반론보도문을 제목 28급 고딕체로, 내용은 조선일보 본문 활자로 해 1회 게재'를 조정했다.
 
<문화>에 대해서도 "문화일보 5면에 제1반론보도문을 AM7 1면 상단부분에 제2반론보도문을 각 28급 고딕체로, 내용은 문화일보 본문 활자체로 해 1회 게재하라"고 명했다.
 
앞서 법원은 정 전 의원의 청구소송 이후 문화일보에는 5면과 자매지 AM7 1면 상단에, 조선일보엔 10면 상단에 각각 반론보도문을 게재하라고 선고한 바 있다. 하지만 이들 신문은 이에 불복하고 항소, 11일 법원 조정에 따라 반론보도에 합의했던 것.
 
정청래 "머리가 멍멍하고 가슴이 콱 막힌 심정"
 
<문화>는 지난해 4월 4일 '정청래 의원, 교감에 폭언'이라는 기사를 통해 "선거운동 중이던 통합민주당 정청래 의원이 2일 서울 마포 소재의 한 초등학교 녹색어머니 출범식에 들어가려다 이를 제지하는 김모 교감에게 폭언을 했다"고 보도했다.
 
▲ 문화일보의 지난해 4월 4일 자 기사. 당시 문화는 교감폭언 내용을 전하며 정 의원을 강하게 비난했다.     © 문화일보

<조선일보>도 같은해 4월 7일 자 '국회의원이 국민 상전일 줄 아는가'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정 의원이 금배지를 국민 위에 군림하는 완장 정도로 생각하지 않는 한 이런 일은 벌어질 수 없다"며 정 의원을 강하게 비난하고 나선 바 있다.
 
당시 이들 신문의 보도는 18대 총선을 일주일도 남겨놓지 않았던 시점이었으며, '해당기사가 오보'임을 거듭 주장했던 정 전 의원은 <문화>와 <조선>이 정정보도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은 탓에 '낙선'의 쓴 맛을 봐야만 했다.
 
이후 정 전 의원은 기자회견 등을 통해 "불의의 칼이 정의를 베고 거짓이 진실을 누르는 자리에는 울분과 통한이 낙엽처럼 뒹굴고 있다"며 해당신문사에 분통을 터뜨렸다.
 
한편 정 전 의원은 지난 10일 다음 '아고라'에 글을 올리고 "막상 조선이 이렇게 생생하게 반론보도를 게재하니, 머리가 멍멍하고 가슴이 콱 막힌다"며 "민감한 총선시기에 언론에 찍힌 국회의원은 이렇게 당해야 하는가"라고 복잡한 심경을 나타내기도 했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09/03/14 [13:49]   ⓒ 대자보
 
  • 도배방지 이미지

  • 나라임자 2009/03/16 [07:25] 수정 | 삭제
  • 좀 더 큰 정치인이 되게 하려는 시련으로 받아들이고 밝은 앞날을 준비하세요. 조선일보 나쁜 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