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무소불위?, 인수위 내부기강 해이 심해져
내부자료 잇다른 유출, 언론사 간부 성향 등 물의 잇달아
 
김중호   기사입력  2008/01/12 [23:23]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정부조직개편 초안 외부 유출에 이어 전문위원의 언론사 간부 성향조사 등 관리체계에 큰 허점을 드러내면서 내부 단속에 비상이 걸렸다.
 
문화관광부에서 파견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박 모 전문위원이 지난 2일 문화부에 언론사 주요 간부들에 대한 성향조사를 요구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에 대해 인수위원회는 "언론 자유는 자유민주주의의 근간이라는 이명박 당선인의 의지에 정면 배치되는 일로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공식 사과했다.
 
인수위는 박 전문위원의 개인적인 돌출행동이라고 강조했지만 인수위원들을 관리하는 내부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동관 대변인은 "이경숙 위원장은 인수위 전문위원 명의로 이뤄진 일이니 만큼 저부터 스스로 회초리를 맞는 심정으로 깊이 반성하겠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박 위원은 성향조사 등을 요구하면서 분과 담당 인수위원에게 보고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주요자료를 해당부처에 요구할 경우 인수위원장의 사전 결재를 얻고 긴급한 경우에도 사후 보고토록 돼 있는 인수위 규정을 어긴것이다.
 
이에 앞서 인수위 내부 주요 정보가 잇따라 누출되는등 인수위 기강을 우려하는 지적이 일찍부터 제기됐다.
 
지난 7일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은 정부조직 개편안이 자신에게 보고된지 20여분만에 언론에 보도됐다며 인수위를 크게 질책했다.
 
또 국정원이 제출한 김만복 국정원장과 김양건 북한통일전선부장간의 대화록도언론에 공개되면서 국정원이 내부감사에 들어가는 진통을 겪기도 했다.
 
정치적 목표가 다른 여러 분야의 인사들이 단기간 함께 일하는 인수위의 특성상 내부통제가 쉽지 않다는데 인수위의 고민이 있다.
 
더구나 일부 인수위원들의 과잉충성 경쟁까지 더해져 통제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수위원회는 인수위원들의 도를 벗어난 행위가 계속 불거질 경우 차기 정부에도 큰 부담이 될 것으로 보고 내부단속 강화에 나섰다. / CBS정치부 김중호 기자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08/01/12 [23:23]   ⓒ 대자보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