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조선일보>의 '진보신당 괴롭히기?'…양측 날선 공방
조선, 세 차례에 걸쳐 '기륭전자 동조 투쟁' 맹공…진보신당, 조목조목 비판
 
이석주   기사입력  2008/08/26 [15:44]
사측의 '불법파견'과 비정규직 여성 노동자들에 대한 부당해고, 이에 따른 복직을 요구하며 1090일 넘게 장기투쟁을 이어가고 있는 기륭전자 사태가 진보신당과 <조선일보> 간의 첨예한 공방으로 이어지고 있다.
 
<조선>이 기륭전자 노동자들의 투쟁을 '명백한 불법파업'으로 규정하며, 여기엔 진보신당 등 좌파단체의 '동조'가 있다는 주장을 펼치자, 이에 발끈한 진보신당이 조선일보 보도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비판하며 "언론의 사명을 저버렸다"고 직격탄을 날린 것.
 
첫번째 '공격'…"좌파 정치권, 어떻게든 기륭전자 사태 이용해 먹겠다는 생각뿐"
 
양측 간 날선 공방의 시발점이 된 <조선일보>의 '기륭전자 기사'는 지난 22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날 자 '기륭전자에선 무슨 일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조선>은 사태의 배경과 3년 간 지속돼온 투쟁의 현 상황 등을 비교적 자세히 설명했다.
 
▲  조선일보의 지난22일 자 사설.   © 대자보

조선은 그러나 "(투쟁을 이끌고 있는) 분회장은 전문 노동 운동가 출신"이라며 "대법원이 '해고가 정당하다'고 판결한 사안인데도, '비정규직 투쟁'의 상징이 된 데는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다른 노조와 시민단체, 정당까지 개입했기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심지어 <조선>은 같은날 사설에도 '기륭전자, 1095일 농성 기록 세우고 노사(勞使) 함께 망하다'라는 글을 실고 "진보신당은 기륭전자의 해외바이어들에게 불매(不買) 촉구 이메일 보내기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농성장엔 매일 노조, 사회단체, 정치권에서 응원단이 몰려오고 있다"며 "좌파 노동계와 정치권은 회사와 비정규직 농성자를 살리겠다는 것보다 어떻게든 기륭전자 사태를 이용해 먹겠다는 생각뿐"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두번째 '공격'…"진보신당의 '기륭전자 괴롭히기'"
 
기륭전자와 관련한 <조선>의 '두 번째 공격'은 나흘 후인 26일 다시 시작됐다. 이번엔 특히 "진보신당의 '기륭전자 괴롭히기'"라는 제목을 써가며 진보신당을 직접 겨냥했다.
 
<조선>은 기사 서두에 "진보신당이 비정규직 해고문제로 1000일이 넘도록 노사분쟁을 겪고 있는 기륭전자의 주요 고객사에 '기륭전자와의 거래관계를 끊으라'고 요구하는 이메일 보내기 운동을 벌여 논란이 되고 있다"고 사실상 화살을 진보신당으로 돌렸다.
 
이같은 <조선>의 보도는 진보신당 홈페이지에 게시된 '기륭을 지지하는 당신을 위한 참여방법 안내서'라는 글을 근거로 한 것이다. 진보신당은 이 게시물을 통해 단식농성 중인 여성 노동자들을 돕기 위한 '온-오프 활동'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조선>은 "이 글에는 시리우스사(기륭전자의 미국 고객)에 보낼 항의 이메일 영문·한글 양식, 시리우스사 광고·후원·투자홍보 등 주요 부서 이메일 주소가 적혀 있다"며 "이 글은 '진보신당' 명의로 작성돼, 22일 처음 게시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들(진보신당)은 또 항의메일 보내기 운동 외에도 뉴욕타임스에 기륭전자를 규탄하는 광고를 내기 위한 광고료 모금운동, 시리우스사 본사를 항의 방문하기 위한 항공료 모금운동도 펼치겠다고 밝혔다"고 보도한 뒤, 기륭전자 경영진 등의 인터뷰를 실어 진보신당의 캠페인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 조선일보는 26일 진보신당을 직접적으로 겨냥했다.     © 대자보

진보신당 조목조목 반박…"조선, '권력의 홍보전단' 자처하나"
 
이에 대해 진보신당은 26일 신장식 대변인 명의의 논평을 내고 "조선일보가 이렇게 정색을 하고 기륭전자 여성 노동자들과 진보신당을 매도하기 시작했다는 것은, 그만큼 기륭전자 투쟁이 국민적 공감대를 얻어가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고마움'을 표시했다.
 
신 대변인은 먼저 '노조 파업이 회사의 경영실적을 악화시켰다'는 주장에 대해 "조선은 2004년 매출과 흑자와 2007년 경영실적을 비교하면서 노조의 파업이 회사를 거덜냈다고 분개했지만, 2005년 이후 기륭전자에서 파업은 단 한 건도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같은 근거로 "사측이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모두 해고했기 때문"이라며 "지난 몇 년간 기륭전자는 만신창이가 되기는커녕 중국에 공장을 증축했다. 노동부의 불법파견 개선 명령에 대해서는 더 많은 해고와 도급화라는 꼼수로 일관했다"고 반박했다.
 
특히 신 대변인은 <조선>이 '사측의 제안을 노동자들이 거부했다'는 의도로 보도한 점을 강조, "지난 6월 '자회사에 1년 교육 후 정규직 채용'이라는 사측 제안을 노조는 전격적으로 받아들였지만, 사측은 이 합의를 손바닥 뒤집 듯 번복했다"고 밝혔다.
 
그는 '대법원 판결이 끝난 문제'라는 <조선> 주장과 관련, "500만원의 벌금으로 면피했으니 모든 책임이 면제되었다는 뻔뻔함을 보장해주는 법을 앞세우는 것이 지금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하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고 일침을 가했다.
 
신 대변인은 "결국 이 모든 사태는 노동자들과의 대화와 합의를 거부한 사측이 초래한 일"이라며 "따라서 조선일보가 비판의 날을 세워 하는 대상은 막가파 기륭전자 사측과 '모르쇠'로 일관하는 정부여당과 제1야당"이라고 맹공을 퍼부었다.
 
아울러 "언론의 존립 근거는 권력에 대한 감시와 비판"이라며 "언론이 이 사명을 저버리고 '권력을 위한 비판'에 몰두하는 순간, 그것은 언론이 아니라 권력의 홍보전단에 불과하다는 것을 조선일보는 명심하기 바란다"고 '충고'했다.
<대자보> 사회부 기자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08/08/26 [15:44]   ⓒ 대자보
 
  • 도배방지 이미지

  • 빨간내복 2008/10/01 [09:39] 수정 | 삭제
  • 중국에 기륭전자 중국에가서 증축을 하셔다고요? 큰일 났네요.중국 신노동법을 알고 가셔는지? 중국 전국인민대표자회의에서 통과된 신노동법은 사용자측의 노동자 해고가 규제가 되어 있습니다.함부로 정리해고가 안된다는 거죠..비정규직이라 하더라도 계약이후에는 해고를 할수 없으며 정규직으로 의무적으로 전환해야 합니다.그리고 노동조합 설립이 의무적으로 설립이 되어야 합니다.사용자측은 노동자들을 차별 하면 법적으로 처벌을 받게 되어 있습니다.앞으로 중국노총에서 악덕기업들에 대한 감독과 감시를 강화 한다고 하니 기륭전자에서 잘 판단하신것 같습니다.싼임금과 넓은 공장이 필요했을 테니 중국노총 감시와 감독 그리고 중국공산당에게 얼마나 버틸지 걱정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