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순의 문학과 여성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태풍과 미풍, 서울과 지방의 대선 영향력
[정문순 칼럼] 그래도 대선만이 희망,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다
 
정문순   기사입력  2017/02/17 [08:53]

경남·부산 민심이 대선판 흔든다”(경남도민일보) 기사를 읽었다. 경남에 살고 있는 기자의 솔직한 속내는 경남이 대선판을 흔든다고 쓰고 싶었을 것이다.
 
다른 지역 사람들이 보기에는 어떤지 몰라도 경남과 부산 사람들의 생각은 그렇게 같지 않다. 두 지역 모두 친여 성향이 크다고 해도 그 결은 다르며, 부산 사람들이 대개 야구에 환장한 것과 달리 경남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등 일상 의식도 차이가 있다.
 
정치 의식이나 일상 정서가 경남과 꼭 같지도 않은 부산이 선거 때는 한 고리로 묶이는 것이 얼마나 합당한지 모르겠다. 어쨌든 이런 식의 보도는 객관적 판단이 아니라 해당 기자의 소망이나 바람을 표현한 것이다. 경남 민심이 대선을 좌지우지했으면 좋겠다는 욕망. 
   
지난 총선과 탄핵 정국을 거치며 경남과 부산에서 여당에 대한 묻지마지지가 균열을 일으킨 건 사실이다. 여당을 압도적으로 좋아하지는 않게 된 두 지역의 유권자들이 어떤 선택을 하느냐가 대선 판도에 미치는 입김은 분명히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앞의 기사 제목에서 경남·부산 대신에 다른 지역 이름을 넣어보라. 마찬가지다.
 
여당의 핵심 근거지이자 탄핵 정국이 길어지면서 슬슬 여당 지지세를 회복하고 있는 대구·경북은 당연히 이번에도 대선판을 흔들 것이다. 여당이 탄핵 반대를 노골적으로 떠들기 시작한 것도 TK 여론을 살폈기 때문이다. 여야 어느 쪽도 압도적으로 지지하지 않음으로써 대선의 풍향계 구실을 해왔다는 충청권도 마찬가지.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이 한때 착각했고 안희정 충남도지사가 현재 기대고 있는 충청대망론이 경남·부산 민심보다 약하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야당 민심을 가늠할 수 있는 호남은 어떤가. 특히 광주는 제1야당 대통령 후보를 정하는 곳이나 다름없다.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2002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 노무현은 그때 국민경선이 첫 번째로 열렸던 광주가 만들어준 것이다. 이렇게 따지니 강원도와 제주도를 뺀 대한민국 모든 지역은 대선 판도를 움켜쥐고 있는 곳이 된다. 모든 지역이 모두 중요하다는 건 하나마나한 소리이니 결국 무의미하다.
 
특히 선거에 미치는 수도권과 비교한다면 경남·부산, TK, 충청, 호남을 모조리 합해도 게임이 되지 않는다. 수도권을 빼놓고 어떻게 선거 추이를 말할 수 있으며, 수도권이 있는 한 일개지방이 대선판을 흔든다고 말할 수 있나. 대한민국 선거 판도의 결정권은 인구 절반이 살고 있는 수도권에 넘어간 지 오래이며 지방 인구가 계속 빠지는 한 그 추세는 더할 것이다.
 
무엇보다 서울은 역대 시장을 유력 후보로 배출하는 저력을 과시하고 있으며 대통령도 만들어냈다. 민선 단체장을 선출하기 시작한 이후 서울 시장 중 대선 후보로 이름이 오르내리지 않은 사람은 없었다. 역설적이게도, 지방자치 시대의 개막은 되레 서울특별시 단체장을 숨만 쉬고 있어도 대통령 후보가 되는 코스로 직행하게 해주었다.
 
특별시 단체장의 위상이 커질수록 지방 광역시 단체장은 쪼그라들 수밖에 없다. 서민들이 즐겨 찾는 거점병원인 진주의료원을 강성노조때문에 운영할 수 없다며 하루아침에 문을 닫아버리고, 학교는 밥 먹으러 가는 곳이 아니라며 무상급식을 돌연 중단하는 등 홍준표 경상남도 도지사가 재임 내내 평지풍파를 일으키고 유별나게 튀는 행동을 했던 것도 까닭이 있었다. 여간해서는 중앙 언론을 탈 일이 없는 별볼일없는경남단체장으로서 자신의 처지를 절감했기 때문인지 모른다.
 
대통령 출마를 꿈꾸던 그가 특별시 시장이었다면 존재감을 드러내고 싶어 그렇게까지 무리를 무릅쓰고 사방에 적을 만들어내면서까지 눈물겨운 인정투쟁을 벌이지는 않았을 것이다. 또 야권에서 안희정 지사가 갑자기 뜨고 있긴 하지만 최종 목표까지 이르는 데는 힘들 것이다. 충남은 서울이 아니다.
 
대한민국 선거에서 지방의 역할이 갈수록 미미해지고 있음은 인정해야 한다. 그것이 현실이다. 어쩌다 부는 건들바람으로는 늘 부는 태풍을 이길 수 없다. 대선 판도에서 경남이 할 수 있는 역할은 솔직히 별로 없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유권자들이 택하는 자가 결국 대통령이 될 것이다.
 
그렇다고 손 놓고 있자는 말을 하자는 건 아니다. 서울 독점에 맞서는 지방 분권의 강화는 선거를 통해서밖에 얻을 수 없는 것 또한 현실이다. 지방에 사는 이들의 목소리가 유일하게 무시당하지 않을 때는 대선이다.
 
지방자치에 대한 소신이 강하고 지역균등 발전을 굳게 약속하고 그럴 만한 실천 역량이 있는 후보를 선택하는 것이 내가 사는 지방을 살리고 궁극적으로 민주주의를 키울 수 있는 길이다. 물론 어느 후보가 득표에 도움이 안 되는 일에 진지하게 마음을 쓸지 회의적이긴 하지만, 지푸라기 잡는 심정으로 대선에 기대를 걸어볼 것이다.
 
경남도민일보 215일 게재 칼럼을 손본 것입니다

* <대자보> 편집위원, 문학평론가입니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17/02/17 [08:53]   ⓒ 대자보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