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6월 민주항쟁?, 자랑도 명예도 이름도 잊혀져서야
[변상욱의 기자수첩] 6월 항쟁 28주년?… 아몰랑인가?
 
변상욱   기사입력  2015/06/11 [23:45]

987년 우리나라의 6월 민주항쟁 2년 뒤인 1989년 6월, 중국에서는 천안문 사태 또는 톈안먼 광장 시위라 불리는 민주화 운동이 벌어졌다. 6월 4일에는 시위대가 무장한 군인과 탱크에 포위돼 무참히 짓밟혔고 천안문 시위는 끝났다. 이 때 발생한 사상자가 어느 규모인지는 아직도 확실한 것이 없다. 사망자만 해도 수백 명에서 수천 명, 만여 명 등 다양한 집계가 주장되고 있다.
 
▶ 천안문 26주기… 탱크맨? 아몰랑


26주년을 맞는 지난 한 주 동안 다음이나 네이버 포털 사이트 검색창에 천안문, 톈안문을 넣어보니 관련 기사는 "천안문 26주기… 홍콩시민 수 만 명 추모 촛불집회", 단 1건 뿐이다. 중국 당국에 의한 철저한 언론 통제가 먹히고 있는 것이다.
 
중국은 민주주의나 자치독립의 요구를 온라인 사이버 공간이나 SNS 상에서 국민이 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상시적으로 수 만 명의 검열 팀을 운영하며 지우고 있다는 소식이다. 당연히 당국이 요구하는 수준의 통제에 응하지 않으면 그 사이트는 폐쇄된다. 지난해 천안문 사태 25주년(중국 정부는 '1980년대에 발생한 정치적 풍파'라고 표현한다)을 맞아 중국 내에서 구글에 접속되는 모든 경로를 차단했다. 중국 내 최대포털 사이트인 '바이두', 뉴스포털 '텅쉰망', 사회관계망 서비스 '웨이보'에서 천안문을 검색하면 "관련법과 정책에 따라 검색결과를 보여줄 수 없다", "법규에 맞지 않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어 보여 줄 수 없다"는 공지가 뜨고 검색은 되지 않는다.
 
더불어 천안문 사태를 연상시키는 관련 단어들도 이 무렵엔 블랙리스트에 오른다. 최근 익명의 중국 언론인이 기고한 글에는 1989년 6월 4일 천안문 시위와 관련되어 '6.4', '8964'라는 숫자들이 온라인 상에서 장애를 겪는다고 한다. 예를 들어 6.4위안이나 8964위안을 송금하려면 검열에 걸리는 것이다. 당연히 당국의 감시를 받는 인물들은 누가 연락하고 누구에게 연락하는지 당국에 의해 감시되며 도청당하기 일쑤라고 한다.
 
이런 정보통제의 결과로 최근 중국 청년 100명에게 당시 유명했던 '탱크맨'(tank man, 진압군 탱크를 맨몸으로 저지하던 청년)의 사진을 보여줬지만 무슨 사진인지 아는 사람은 15명뿐이었다고 한다.
 
▶ 6월 항쟁 28주년?… 아몰랑


시선을 우리의 6월로 돌려보자. 6월 항쟁 당시 박종철 열사, 이한열 열사로 불리며 온 국민의 가슴을 아프고도 뜨겁게 했던 그들의 사진을 보여주면 바로 알아보는 청년은 얼마나 될까? 서울 덕수궁 옆 성공회 서울대교구 성당 주교관 앞에는 6월 항쟁의 진원지를 기념하는 비석이 세워져 있다.


"6월 민주항쟁이 이 자리에서 시작되어 마침내 민주화의 새 역사를 열다"


성당에서 민주항쟁을 위한 회합이 빈번히 열렸고 6월 10일 오후 6시에는 성당 종탑에서 종소리가 울려 퍼지며 대회 일정이 시작됐다. 종탑꼭대기에선 민주화 성명서가 낭독됐다. 6월 민주항쟁은 6월 10일의 민주화시민대회, 6월 18일 최루탄 추방 결의대회, 6월 26일 국민평화대행진으로 이어지며 시위참가 연인원 500만 명이라는 대역사를 이뤘다. 첫날은 24명 연행, 최루탄 추방결의대회 당일에는 1,487명 연행, 6.26 대행진 당일에는 3,467명 연행 등 연행된 시민 숫자만 봐도 그 범국민적 열기를 짐작할 수 있다.
 
6월 민주항쟁은 앞에 열거한 대형 시민대회를 기점으로 3단계로 나뉜다.


제1단계는 6.10 대회부터 6월 18일 '최루탄 추방 결의 대회' 이전까지다. 전국에서 시위에 참여한 숫자는 22개 지역, 24만여 명. 경찰이 진압의 한계에 부딪혀 당황하기 시작했고 강경진압은 명동성당 농성과 농성시민을 끝까지 보호한 천주교회에 의해 가로막혔다.
 
6월 민주항쟁의 제2단계는 18일 '최루탄 추방결의 대회'로부터 26일 국민평화대행진 전까지로 구분한다. 6월 9일 발생한 이한열 최루탄 사망사건으로 불붙은 분노는 6월 18일 최루탄 추방대회에 전국에서 150여 만 명이 참가하도록 만들었고, 부산에서는 40만 명 가까운 시민이 거리로 나서 경찰이 진압을 포기하는 사태도 벌어졌다. 광주에서는 철야시위가 진행되고 강원도에서도 시위가 열리기 시작했다. 그리고 눈치 보며 머리를 굴리던 미국이 전두환 정권에게 유혈진압 포기를 종용하며 사태에 개입한 것도 이 시기이다.
 
6월 민주항쟁의 제3단계는 26일 국민평화대행진에서 시작돼 6.29선언에서 마무리된다. 26일의 전국적인 평화대행진은 전국 33개 지역에서 180만 명이 참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이 때 대거 등장한 것이 중산층 사무직원들. '넥타이 부대'라는 용어가 등장했고 전두환 정권은 재야도 학생도 노동자도 아닌 중산층 사무직 계층이 대거 시위에 나섰다는 점에서 몹시 당황했다.
 
'6월 민주'라는 단어를 뉴스 검색창에 넣어본다. 부산과 여수에서 기념행사가 열릴 것이라는 단신 2가지가 전부이다. 메르스 때문일 거라고 그래서 그럴 거라고…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15/06/11 [23:45]   ⓒ 대자보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