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3.1절 96주년, 살아나는 여성독립운동가
[발굴] 이윤옥 시인의 <서간도에 들꽃피다 5집>, 여성독립운동가 소개
 
김철관   기사입력  2015/02/19 [09:09]
▲ 표지     © 얼레빗

항일 여성독립운동가들을 발굴해 헌시를 통해 조명하고 있는 이윤옥 시인이 시집 <서간도에 들꽃 피다 5집>을 냈다. 

이윤옥(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장) 시인은 중국과 국내를 돌아다니며 항일 여성독립운동가의 흔적을 찾아 소개하고 헌시로 넋을 위로하고 있다. 이미 출판된 <서간도에 들꽃 피다 1~4집>도 각각 20명의 여성독립운동가를 발굴해 소개했다. 

올 3.1운동 95주년과 8.15광복 70주년을 기념해 최근 펴낸 <서간도에 들꽃 피다 5집>(2015년 2월 17일, 도서출판 얼레빗)도 새롭게 발굴한 20여명의 항일 여성독립운동가들을 헌시와 함께 그와 관련한 역사적 사실을 올곧게 소개하고 있다. 

먼저 항일 여성독립운동가 하면 제일 많이 떠오르는 유관순 열사(1902년 11월 17일~ 1920년 10월 12일)는 과연 어떤 인물일까. 이 시집은 17살을 꽃다운 나이로 옥중에서 순국했다고 알려진 유관순 열사와 가족에 대해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유관순이 태어난 아우내(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유관순 생가길 18-2면)는 독립운동에 있어 역사적인 곳이다. 이화학당에 유학 중인 유관순이 부모님과 함께 1919년(기미년) 4월 1일 아우내 장터에서 독립만세운동을 펼친 곳이기 때문이다. 

유 열사는 1916년 이화학당에 교비장학생으로 입학해 고등과 1학년 3학기 때 거족적인 3.1운동을 맞는다. 그해 3월 5일 남대문만세운동에 참여했고, 조선총독부 강제명령에 의해 이화학당이 휴교되자 독립선언서를 가슴에 숨겨 고향으로 귀향한다. 

이곳 고장 주변 주민들에게 서울 독립만세운동을 전하고, 4월 1일 아우내 장터에서 독립만세운동을 계획해 전개한다. 1일 오전 9시 3000여명의 시위군중이 모이자 만세를 외치면서 독립서언서를 낭독한다. 이날 함께 참여했던 부친 유중권(1863년 11월 2일~ 1919년 4월 1일)과 모친 이소제(1875년 11월 7일~ 1919년 4월 1일)는 일군경의 흉탄에 맞아 비극적인 최후를 맞는다. 

이날 시위로 부모를 모두 잃은 유관순은 독립만세운동 주모자로 체포돼 공주지방법원에서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5년형을 선고 받고, 경성복심법원에 공소해 3년형을 받아 서대문 형무소에 감금됐다. 옥중에서도 만세운동을 하다 모진 고문과 여독으로 17살의 꽃나이로 순국한다. 유관순 열사는 지난 1962년 고인의 공훈을 기려 건국훈장독립장이 추서된다. 

특히 유관순 열사 가족의 독립운동사도 눈여겨 볼만하다. 작은 아버지 유중무, 사촌언니 유예도, 오빠 유우석, 올케 조화벽, 조카 유제경, 오촌 조카 한필동 등 유관순 열사의 많은 가족들도 독립유공자로 인정돼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국장, 건국훈장 애족장 등이 추서됐기 때문이다.
 

▲ 유관순 열사 서대문 형부소 수형카드     ©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


아우내의 횃불 높이든 유관순 
이윤옥 시인 

칠흑같이 어두운 이월그믐밤 
집 뒤 매봉에 올라 
아우내의 횃불 높이든 임이여 

바람 앞에 흔들리는 조국을 지켜달라고 
뭇별들과 깍지 켜 약속하고 
쏟아지는 총탄을 온 몸으로 막아내며 
저들의 총칼에 당당히 맞섰던 임이여 

어머니 아버지 형제자매들 
붉은 피 쏟으며 쓰러지던 거리 

결코 한 발자국도 
물러설 수 없는 겨레의 자존심으로 
아우내의 횃불을 치켜든 임이여 

그날 
천지를 울리고 하늘도 울린 
임의 절규 
조국은 기억하리 천추에 기억하리 

사회주의 혁명가로 독립운동에 뛰어든 김알렉산드라 열사는 독립운동 혐의로 잡혀 러시아 흑룡강(아무르강) 처형장에서 눈에 붕대를 감고 나왔는데, 갑자기 붕대를 눈에서 떼어내 열세 발자국을 걸었다는 것이다. 바로 조선 13도를 상징한 의식을 행한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외침을 전한다. 


“사랑하는 나의 동지들, 남녀노소들이여, 오늘 우리의 적들이 많은 애국자들과 친구들과 나의 삶을 빼앗아 가고 있다. 그러나 공산주의 이념은 빼앗을 수 없다. 우리가 싸웠던 사업은 승리할 것이다. 내가 13보를 걸은 것은 조선이 13도였음을 의미한다. 한국의 각 도에 공산주의의 씨여! 훌륭한 꽃으로 펴라. 한국의 젊은이들이 이 꽃을 손에 들고 조선의 해방과 독립을 쟁취하라. 이 해방은 너희들의 자랑의 대상이 될 것이다. 여러분 우리의 후배들이 조선을 다 행방 시키고 사회주의가 건설되는 것을 볼지어다. 볼세비키여! 영광스러워라.” 

김 악렉산드라의 외침이 끝나자 그의 심장을 향해 총탄이 날아들었고, 그의 몸은 처절하게 러시아 아무르강(흑룡강)으로 굴러 떨어지며 비명횡사를 한다. 

함흥 3.3독립만세 사건으로 연루돼 9개월의 옥고를 치른 전창신 애국지사는 당시 법정에서 일본인 법관이 ‘왜 만세운동을 했는지를 소상히 말하라’는 질문에 이같이 답변했다. 

“첫째는 학교에서 우리말과 글을 못 쓰게 하고, 아이들에게 황국신민화를 강요하고 있다. 
둘째는 조상 전래의 지주땅을 몰수해 소작인으로 전락한 사람들을 북만주 땅으로 가게하고 있다. 셋째는 언론기관을 철폐, 집회를 불허하고, 애국자를 투옥하고 있다. 넷째는 인종차별로 우리를 정신적 경제적으로 위협하고 있다. 내 문둥이 같은 팔을 보라. 내가 감방에서 짐승 같은 대우를 견뎌내야 하는 것은 나라 없는 탓이 아니겠냐? 그러니 나의 숙원은 독립 아니면 죽음일 뿐 감옥에서 편하자는 것이 아니다.” 

이 외에도 <서간도도 들꽃 피다 5집>은 목포 유달산 묏마루에 태극기 높이든 김귀남, 노동자로 독립운동 이끈 김필수, 임시정부에 독립운동 군자금 송금한 김영순, 제주해녀로 독립운동에 앞장선 김옥련, 밀입국한 독립운동 연락원의 여비 마련에 힘쓴 간호사 김온순, 전주기전 앞 거부의 딸로 독립운동에 참여한 김인애, 민주에서 민족교육운동과 독립단의 통신연락을 맡은 박신원, 의친왕 망명 이끈 대동단의 박정선, 함께 항일독립운동을 했던 남편 강무경 호남 의병장을 먼저 보내고 청상과부의 몸으로 친정 조카 등을 기른 양방매 등의 황일 여성운동가 등의 처절한 삶과 활약상을 소개했다. 

대한임시정부 국무총리 이동휘 선생의 둘째딸로 독립웅변가로 활동했던 이의순, 기생 독립운동가 옥운경, 남편 도산 안창호의 독립운동 뒷바라지에 전념한 아내 이혜련, 의열단으로 종로경찰서에 폭탄 던져 장렬히 전사한 김상옥 열사의 거사를 도운 이혜수, 미국에서 독립운동 자금을 후원한 이화숙, 항일 학생운동의 앞장선 장매성, 개화에 눈뜨고 평양 만세운동 뒤흔든 채혜수, 비밀결사로 임시정부 군자금 댄 최갑순 등의 여성 항일독립운동가 20인에 대한 헌시와 역사적 얘기를 풀어놨다. 

시집 서문에서 이윤옥 시인은 “95년 전 3.1운동과 8.15 광복 70주년을 맞는 해”라며 “나라 안팎으로 어려운 문제가 산적해 있지만 선열들의 숭고한 나라 사랑 정신만은 우리 가슴 속에서 놓지 않게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저자 이윤옥 시인은 <문학세계> 시부문으로 등단했다. 문학세계문인회, 세계문인협회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외대 연수평가원 교수, 일본와세다대학교 객원연구원, 민족문제연구소 운영위원회 부위원장 등을 역임했고, 현재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장으로 근무하며, 한일 두 나라의 우호 증진을 위해 힘쓰고 있다. 시집으로 <사쿠라 불나방> <서간도에 들꽃피다 1~5집> 등이 있다. 저서로<신일본 속의 한국문화답사기> <일본 속의 한국출신 고승들의 발자취를 찾아서> <사쿠라 훈민정음> <오염된 국어사전>등이 있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15/02/19 [09:09]   ⓒ 대자보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