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권력비대증 걸린 시민운동, 스스로를 점검하라
[시민논단] NGO는 사회에 신선한 개혁 일으키는 산소역할 해주어야
 
김소봉   기사입력  2007/11/15 [13:44]
시민운동(NGO)은 정부와 상관없는 비정부기구(non-governmntal-organization)라는 약칭으로 NPO(non-profit organization)와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혁명과 NGO의 의미는 크게 다르다. 자신들의 권리회복을 위한 저항정신으로 나선 민중혁명과는 달리 대다수 혁명은 소수의 특권층이나 군인들이 자신들의 기득권을 쟁취하기 위해 무력을 사용해 정권을 탈취한 것은 국가전복이지 혁명이라고 볼 수 없다. 동학혁명, 3.15의거, 4.19혁명이라면 모를까.
 
지식이 양반층의 점유물로 악용되고 권력이 개인의 인권을 마음대로 통제하는 시대와는 달리 20세기에 들어서서 참정권의 확대와 지속적인 경제성장으로 인한 교육열은 복지국가의 탄생과 자율적 인권의식을 눈 뜨게 만들었고 특히 여성인권에 대한 의식이 높아졌다.
 
과거 인권이 통제된 국가권력 위에서 좌지우지되던 통치기능은 가난위의 성장이라는 국민적 기대를 다소 충족시켰지만 부를 담보로 한 인권탄압은 오히려 오합지졸이나 다름없었던  민중적 힘을 거대한 결집체로 모으는 구심점 역할을 해 준 셈이다.
 
근대 실존적 철학자인 마르틴 부버(1878~1965)는 “오늘날 우리네의 인사는 따분하고 틀에 박혀있다. 안녕! 이라는 말 속에 당연하게 담겨져야 할 상대방의 안전과 평화, 그리고 행복을 함께 나누려는 따스한 온기가 느껴지지 않는다.”라고 혹평하며 ‘나와 너’라는 선을 긋는 삭막한 세상을 ‘우리’라는 살맛나는 공동체로 만들기 위한 제2의 평화군단이 NGO 정신이라는 정의를 내렸다.
 
약자와 소외계층을 대변해 권익과 권리를 되찾아준다며 창설된 NGO는 전국적으로 무려 수천 개가 넘는다. 태동부터 현재까지 열악한 재정 속에서도 당당하게 제 몫을 해내고 있는 시민단체들도 많다. 그러나 과연 모든 NGO들이 초심에 걸 맞는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는가? 라고 반문할 때 대다수 국민들은 동의하지 않는다.  NGO 단체가 본래의 기능에서 일탈해 권력화 돼가고 있다는 우려는 입에서 입으로 회자되고 있다. 그런 NGO는 집행부와 회원 몇 사람이 모인 친목계나 다를 게 없을 것이다.
 
2009년 서울에서 NGO의 올림픽이라고 할 수 있는 세계시민포럼(WCF)이 개최된다고 한다. 권력 비대증이 권력을 붕괴시키듯 NGO의 권력비대증 역시 NGO를 국민의 지지로부터 멀어지게 할 것이다. 좌파와 우파, 정치적 편견으로 갈라져 다툼하는 정당원들과 폭력단체들까지도 위장된 NGO간판을 내 걸고 있는 대한민국은 NGO에 끌려 다니는 수형자처럼 볼썽사납다.
 
인류의 평화와 공영, 여성인권을 위한 지킴이들, 약자와 소외계층의 복리 추구, 비정규직 근로자를 위한 투쟁, 친일청산, 농민들을 위한 FTA협상저지 등, 대의명분이 뚜렷한 NGO단체는 이 순간에도 우리 사회의 유일한 횃불이다. ‘단체장은 제왕’이라는 공식을 허물고 창원시처럼 자치단체가 시민단체와 머리를 맞대고 의논하며 민주적인 시책을 추진하는 시민배심원제도 역시 쌍수를 들어 환영할 만한 지방자치제의 혁명이나 다를 바 없다.
 
NGO운동은 사회에 신선한 개혁을 일으키는 산소역할을 해주어야 한다. 대한민국은 가히 NGO 천국이다. 사회정의 차원의 공익성보다 조직의 집단이기주의에 치우친 국민과 지역민들의 인권과 복지에는 무관심한 공적이지 못한 이런 후안무치한 단체들까지 NGO라고 할 수 있나? 또한 용서와 참회의 기회도 주지 않고 자신들의 이익이나 이념에 반하면 마냥 짓밟아 살상하려드는 것 같은 투쟁이 과연 NGO의 정의인지도 곰곰이 성찰할 때다.
 
국민이 등 돌린 정부는 정부가 아니듯 국민과 지역민이 외면하는 NGO 역시 시민단체라고 말할 수 없다. 지금이 NGO의 과도기라며 걱정하는 국민과 지역민들의 목소리는 높다. 창으로 뚫리는 방패, 방패에 튕겨져 나가 꺾이는 창을 빗대어 모순(矛盾)이라고 표현한다. 엉터리라는 모순의 어원은 창과 방패란 뜻이다. 시민운동이 불의와 부패를 뚫지 못하고 막아내지 못한다면 모순일 뿐이다. 자신들도 사회정의를 지키는 튼튼한 창과 방패의 역할을 다하고 있는지 이쯤에서 뒤돌아 볼 시기가 됐다. / 칼럼니스트
칼럼니스트 /경남연합일보 수석논설위원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07/11/15 [13:44]   ⓒ 대자보
 
  • 도배방지 이미지

  • 피노키오 2007/11/22 [10:00] 수정 | 삭제
  • 온통 망가진 육신, 이순이 넘은 나이로도 필검을 들고 나서는 의연한 모습이 존경스럽습니다. 또 큰 수술을 받으셨다고 신문보도를 봤는데 건강 유념하십시오. 선생님이 계시기에 경남은 살 맛 나는 동네입니다.
  • 노해윤 2007/11/18 [23:57] 수정 | 삭제
  • 좋은 글 감사합니다.
    게시판 글로 인용하겠습니다.
    고성군홈페이지에서 인용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