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이 11일 전국노동자대회를 통해 ‘노동탄압과 노동개악 저지’를 외치며 ”윤석열 정권 퇴진 투쟁’을 결의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위원장 직무대행 윤택근)은 11일 오후 2시 서울 서대문 사거리에서 조합원 5만여 명이 모인 가운데 ‘노동.민생.민주.평화 파괴 윤석열 정권 퇴진·전태일열사 계승 전국노동자대회’를 개최했다.
민주노총 2023년 전국노동자대회 슬로건은 ‘120만 전태일의 반격! 퇴진광장을 열자’였다.
대회사를 한 윤택근 민주노총 위원장 직무대행은 “1년 6개월이다, 단 한사람 바뀌었을 뿐인데,세상은 뒤죽박죽, 엉망이 되어 버렸다”며“반노동, 반민주, 반민생. 평화 파괴로 민중들의 삶을 벼랑 끝으로 내모는 대통령, 굴욕외교와 핵오염수 투기로 국민의 생명을 외면하는 대통령, 급기야 항일 애국지사를 이념논쟁으로 매도하면서 국민을 갈라치기하는 대통령, 노동조합을 상대로 전쟁을 선포하는 대통령, 이런 대통령은 필요 없다”라고 말했다.
이어“노동자의 무기인 단결과 연대로 윤석렬 퇴진광장을 노동자의 손으로 열어 내자”며“윤석렬 대통령 퇴진 투쟁은 국민의 명령이며 정의를 살리는 애국적인 투쟁”이라고 강조했다.
고 양회동 열사의 형 양회선 씨는 “가족들의 생계를 걱정해야 하는 조합원들을 옥을 가두고, 남은 가족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면서 살아가야 하는 참담한 이 현실에 또 한번 분노를 느낀다”며 “동생은 야당 대표들에게 노동자의 권리를 짓밟는 윤석열 정권을 무너뜨려 달라고 부탁했다, 노동자의 정당한 권리를 위협하는 장애물들을 없애는 데 힘을 보태달라”고 호소했다.
윤창현 전국언론노조 위원장은 “윤석열 정부는 대한민국의 언론자유를 바닥까지 추락시켰던 이명박의 대변인, 이동관을 방송통신위원장에 앉혔다”며 “그 뒤로 지금 방송법 아래서 임기가 남은 공영방송 이사들 불법적으로 마구 잘라내고 대통령 술친구를 KBS 사장에 낙하산을 투하했다”고 말했다.
이어 “법적 근거도 없이 권력비판 보도를 멋대로‘가짜뉴스’로 규정하고 권한에도 없는 인터넷언론까지 국가가 심의하고 제재하겠다고 나서고 있다”며 “지금 당장 이동관을 탄핵시켜 우리 삶을 지켜내자, 이동관 탄핵 서명에 동참해 주라”고 호소했다.
윤장혁 금속노조 위원장은 “사회에 진출해서 노동자로 살아가야 할 미래세대인 우리 아이들에게 야만적인 사회를 물려 줄 수 없다, 악순환의 사슬을 끊어내기 위해서는 노조법 2조 3조를 반드시 개정해야 한다”며“노조법 2조3조 개정을 반대하는 국민의힘 해체와 거부권을 행사하겠다는 윤석열을 퇴진시키는 투쟁에 다같이 떨쳐 일어나자”고 호소했다.
전희영 전교조 위원장은 “세상이 변하지 않으면 정권이 바뀌지 않으면 죽음의 경쟁교육도, 우리 교사노동자들의 삶도 제자리걸음일 뿐”이라며“역사는 퇴행하고, 정권은 탄압으로 일관하고, 민생·민주·교육은 파탄나는 이 현실 속에서 우리가 선택할 것은 윤석열 정권을 끌어내리는 투쟁뿐”이라고 강조했다.
현정희 공공운수노조 위원장은 “9월 철도노조에서 시작된 공공성-노동권 확대 하반기 공동파업이, 서울대병원과 경북대병원, 금융기관 콜센터를 거쳐, 이제 서울교통공사와 건보고객센터, 서울시사회서비스원, 국민연금공단까지 와있다”며 “파업의 이유는 모두 같다, 민영화를 막고, 공공성을 강화하고, 노동권을 확대하기 위한 싸움”이라고 강조했다.
전종덕 민주노총 사무총장의 사회로 시작된 전국노동자대회에서는 풍물문선대, 노래문선대 등이 공연을 했고, 윤석열 정부에 맞선 민주노총의 투쟁을 담은 영상과 진행 중인 직선 4기 선거에 출마한 기호 1번 양경수-기호 2번 박희은 후보조의 유세 영상도 선보였다. 또한 윤석열 퇴진과 노동개악 저지를 담은 상징의식 그리고 결의문 영상을 통해 투쟁을 선포하며, 집회를 마무리했다. 곧바로 윤석열 퇴진 총궐기 대회가 이어졌다.
한편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위원장 김동명)도 이날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대로에서 전국노동자대회를 개최해 ‘윤석열 정권 심판’을 외쳤다. 이날 집회에 조합원 6만 여명이 참석했다.
한국노총 집회 참가자들은 ▲모든 노동자의 노조할 권리보장과 노동기본권 강화 ▲타임오프 노사 자율 쟁취 ▲사회연대입법 제정 ▲공적연금 개악 저지 ▲중대재해처벌법 강화 ▲공공부문 민영화 및 구조조정 저지 등을 위한 총력투쟁을 결의했다.
또한 노조법 2·3조 개정에 따른 대통령 거부권 반대와 사회적 대화를 위해 '30년간 사회적 대화를 이끌어 온 노동자 대표성을 인정하라'고 정부에 촉구했다.